본문 바로가기

건강/1분 건강 상식

[1분 건강 상식] 전자렌지는 영양소를 파괴시킬까?

728x90

 

전자레인지로 조리하게되면

발암물질이 생긴다라거나 

영양소들이 파괴된다라는

말을 저는 들어본적있는데요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과연 사실일까요?

 

 

 

삐------

거짓입니다.

 

미국 코넬대학에서는

조리 시에 가장 예민한 게 반응하는 야채중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이 있는 시금치를

스토브와 전자레인지로

2가지 방법으로 조리시에

비타민이 얼마나 파괴될까?

관한 실험을 했습니다.

 

바로 결과를 알려드리면 스토브로 조리했을때 비타민 B가 77% 파괴되었습니다.

반면 전자레인지는 대부분의 비타민이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야채가 아닌 베이컨 육류 역시 팬으로 굽는것보다

전자렌지로 조리할때 영양소가 보다 적게 파괴되었습니다.

 

스페인에 있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에서는

야채들에 많이 들어있는 항산화 물질을

조리 방법들에 따라 파괴의 정도를 실험했는데요.

(항산화 물질이란 암 예방에 도움 되는 물질입니다.)

 

끓이거나 압력솥 조리 > 후라이팬 가열, 튀김 > 전자레인지 조리

 

역시나 항산화물질은 전자레인지로 조리하는 것이

가장 적게 파괴되었습니다.

음식에 열을 가하면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은 당연한것입니다.

하지만 전자레인지의 경우

가장 안전하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전자레인지가 발암물질을 생성시킬꺼라고

생각하시는 사람들이 많은데요

이것도 거짓인것입니다.

음식을 조리하는 방식의 대부분은

외부에서 열을 가해 조리를 하게되는데

음식 속까지 익히기 위해서

음식의 겉을 태우게 되면 탄 부분에서

벤조피린이라는 발암물질이 생기게됩니다.

 

하지만 전자레인지는

파장의 길이가 마이크로파이기에

인체에 전혀 문제를 끼치지 않으며

 

 

마이크로파는 음식의 속과 겉을 동시에 익히기에

타는 경우가 적어 발암물질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전자레인지의 타이머가 끝난 순간

전자파들은 일제 멈추고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렌지를 열 때와 음식에 전자파가

스며들어있다는 것도 거짓말입니다.

 

 

 

하지만 전자렌지가 조리되는 중에는

전자렌지 내부를 보기 위해서

가까이에서 쳐다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주로 아이들이 신기해해서 많이들 보곤합니다.

그럴 경우

많은 눈에는 수분이 많은데

눈에 치명적인 데미지를 준다고 합니다.

전자레인지가 작동되고 있을 때에는

30cm 거리를 벌리고 있도록 합시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보신 포스팅이 유용했다면 공감하기 버튼 눌러주시고 더 궁금하신 것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경우 빠른 시일안에 새로운 게시글로 궁금증 해결해드리겠습니다.